mirror of
https://github.com/Koko-boya/Grasscutter_Resources
synced 2024-01-31 23:23:19 +08:00
35 lines
1.6 KiB
Plaintext
35 lines
1.6 KiB
Plaintext
네 번째:
|
||
Celi upa celi
|
||
Sada shato lata
|
||
Kuzi unu ya zido
|
||
Unu dada
|
||
|
||
츄츄족 샤먼의 시가. 부락의 츄츄족 장로가 보인 반응으로 봤을 때, 이 시는 츄츄족 사이에 특별한 철학적 의미가 있는 듯하다. 주류 학계에서는 거론할 가치도 없다고 일축하고 또 필자가 권위 있는 학설에 도전할 마음은 없지만 츄츄족에게 철학이 존재하는지는 여전히 낭만적인 문학 주제임이 분명하다.
|
||
|
||
다섯 번째:
|
||
Nini movo muhe yoyo
|
||
Nini movo mimi tomo
|
||
Lata movo mosi yoyo
|
||
Celi movo celi yoyo
|
||
|
||
몬드 주민처럼 츄츄족에서도 바람을 숭배하는 부락 주민들은 자주 술에 흠뻑 취하여 바람을 찬미하는 노래를 끝없이 불러 댄다. 이 시는 츄츄족 샤먼의 찬가로, 모두 만취했을 때 들을 수 있다.
|
||
|
||
여섯 번째:
|
||
Unu, unu
|
||
Yaya ika kundala!
|
||
Unu, unu
|
||
Mita dada ya dala?
|
||
Unu, unu
|
||
Kuzi mita dada ye
|
||
Mita dada-a-mimi
|
||
|
||
이 곡은 경건한 찬송가로, 츄츄족이 제사를 지낼 때에만 부른다. 이 노래를 부를 때 츄츄족은 악기 연주를 곁들이기도 한다——목판으로 마을의 가장 약한 일원의 엉덩이를 때리면 경쾌하고 리듬 있는 소리가 나면서 아프다.
|
||
|
||
일곱 번째:
|
||
Mimi movo
|
||
Mimi sada
|
||
Mimi domu
|
||
Domu upa
|
||
Gusha dada
|
||
|
||
츄츄족 부락에는 달빛 아래서 모닥불을 에워싸고 노래를 주거니 받거니 하는 전통이 있는 듯하다. 이 시는 그런 노래 중 하나로, 츄츄족 족장이 합창하는 마지막 곡이다. 이 곡이 끝난 후 마을 장로는 소리 높여 「nunu!」를 3번 외친다. 「자러 가자!」라는 뜻인 것 같다. |